티스토리 뷰

반응형

 

#산성

pH(피에이치)가 7보다 작은 물질의 성질을 말한다. pH어떤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그 용액에 녹아 있는 물질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중성인 물의 pH는 7이고 7보다 작으면 산성, 7보다 크면 염기성이다. 레몬, 식초, 김치, 요구르트 등 산성 물질은 주로 신 맛을 낸다. 

 

 

#pH와 pH시험지 

산은 물에 녹으면 수소 이온을 내놓는다. 수소 이온을 많이 내놓을수록 강한 산이고, 적게 내놓는 것은 약한 산이다. 

이것을 숫자로 나타낸 것이 pH.

7을 기준으로 그보다 낮은면 산성이고 pH시험지를 넣으면 붉은색 계열로 변한다. 7보다 높으면 염기성으로 푸른색으로 변한다. 

 

 

 

 

#산성비 

빗물이 대기 오염의 영향으로 산성을 띠는 것. 

그렇다면 산성비는 왜 안 좋을까?

 

 

#산성비의 생성과 피해 

공장과 자동차 등에서 내뿜는 매연에는 이산화 황, 질소 산화물 같은 오염 물질이 들어있다. 이 물질들이 비구름에 섞여 들면 산성이 강한 황산, 질산으로 바뀌고, 산성비로 내리는 것.  

 

이러한 산성비는 여러가지 피해를 불러일으킨다.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칼슘, 마그네슘 등의 영양분 대신 산성이 많아지면 뿌리를 말라죽게 하고, 동물들은 병들게 하고, 건물, 문화재를 부식시킨다.  

 

이러한 산은 산성비뿐만 아니라 개미에게도 있다. 개미산이 그것. 

 

 

#개미산

개미에게 물리면 모기에게 물린 것처럼 빨갛게 부어오르고 따끔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그 이유는 바로 개미가 가진 독인 '개미산' 때문이다. 개미산은 놀랍게도 소나무, 전나무 잎 등 여러 식물에 들어 있고 복숭아에도 조금 들어있다. 

 

산성물질인 개미산은 사람의 피부나 눈 점막 등을 강하게 자극하는 물질. 특히 피부에 흡수되면 점막을 강하게 손상시키기 때문에 아주 위험한 독이다. 그러므로 개미가 많은 지역에 갈 때에는 긴바지와 긴팔 차림으로 가는 것이 좋다. 

 

만약 개미에 물렸다면 먼저 물린 부위를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2차 감염이 일어날 수 있으니 상처 주위를 긁거나 만병통치약인 듯 습관처럼 침을 바르는 행위는 좋지 않다. 

 

 

 

 

 

#콜라와 사이다는 왜 탄산음료라고 불릴까?

#탄산음료는 왜 이와 건강에 좋지 않을까?

 

콜라와 사이다의 청량감은 '탄산'이라 불리는 산성물질에서 온다. 

콜라와 사이다는 설탕을 녹인 물에 향을 내는 시럽을 넣고, 마지막으로 톡 쏘는 맛을 위해 이산화 탄소를 넣는다. 이산화 탄소는 비교적 물에 잘 녹는 기체. 콜라나 사이다 외에도 맥주 등 이산화 탄소가 들어간 음료는 모두 탄산음료라 부를 수 있다. 산성인 탄산이 이를 부식시키기 때문에 충치가 생기기 쉬우니 탄산음료는 자주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생활 속 산성물질

탄산음료, 레몬, 식초, 김치, 요구르트

 

 

#강한 염산이 있는데 왜 배탈이 날까?

위액은 강한 염산인 위액이 있다. 위액은 음식물을 모두 녹여 준다. 하지만 과식하여 녹일 음식물이 많아지면 강한 염산인 위액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되고 그 때문에 속이 쓰리거나 배탈이 날 수 있다.

 

 

#염기성(알칼리성)

ph가 7보다 큰 물질의 성질. 염기성이라고도 한다. 주로 쓴 맛을 내며 손으로 만지면 미끌미끌하다. 비누, 샴푸, 세제 등이 대표적인 알칼리성 물질. 

 

 

#세제는 모두 염기성일까?

 

 

 

대부분의 세제는 기름때나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염기성을 띠고 있다. 하지만 모든 세제가 모두 염기성인 것은 아니다. 변기용 세제는 지방이나 단백질을 녹이는 것이 아니라 소변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소변 속 암모니아는 pH11정도의 염기성 물질. 이러한 염기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대되는 성질인 산성을 사용해야 한다. 

 

 

#샴푸보다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뻣뻣해지는 이유는?

삼푸로 머리를 감다가 비누로 머리를 감으면 더 뻣뻣해지는 이유는 pH농도와 관련이 있다. 

샴푸는 pH가 약 7~8 사이의 약염기성 물질,

비누는 PH가 10정도로 강한 염기성 물질이다. 염기성이 강할 수록 단백질 성분인 머리카락을 더 강하게 씻어 내기 때문에 뻣뻣해지는 것.  

 

 

반응형